이해민선의 회화는 붉고 노르스름한 풍경들로, 산의 중턱 혹은 그 어디쯤이다. 〈육지는 금방 차가워지고〉(2012)는 잘린 봉우리의 황량한 산허리 어느 붉은 벌판에 각목, 흰 비닐 조각 등으로 묶여진 사물이 덩그러니 놓여 있다. 〈중턱〉(2017) 또한 산의 봉우리, 윗부분이 잘린 형태이며 아크릴이 흘러내리는 붓 터치는 건조하고 삭막한 느낌을 자아낸다. 〈절정 없는 곳:포즈〉(2017)는 헐벗은 산 어느 공사장 현장에 마감되지 않고 방치된 물질들이 처량하게 남아있지만 동시에 어떤 분위기의 포즈(pose)를 띄고 있다. “위태롭게 있으나 사라지지 않고, 절정은 없으나 포즈는 있다”의 작가 말처럼 작가가 오랫동안 관찰해 온 자연과 풍경, 일상 속 주변 환경에서 보이는 인공물과 자연의 어색한 대비를 이룬다. 이러한 이해민선의 풍경들은 매끄럽게 잘 조성된 우리 주변의 조화로운 시야들을 벗어나 소외되거나 쉽게 잊혀지는 사물, 자연의 상태들을 떠올리게 한다.
MINSUN is exhibiting paintings that are red and yellowish landscapes showing a hillside or somewhere around one. An object tied to wooden sticks and wrapped in white vinyl is conspicuously placed in a red field at a desolate hillside by leveled peaks in The land has been cold very soon (2012). Halfway (2017) also has the hilltop truncated, and the brushstrokes with runny acrylic produce a dry and dreary feel. Unfinished and neglected matter cheerlessly remain at a construction site in a bare mountain but are simultaneously in a pose of a certain mood in A place without Climax : The Pose (2017). Like the artist’s statement “They are in peril but do not disappear, and there is no climax but poses exist,”they form the awkward contrast between artificial objects and nature seen in the nature, scenery, and everyday surrounding environments the artist has observed for extended time. MINSUN’s such landscapes remind one of the state of objects and nature escaping the harmonious, smoothly well-composed ranges of vision around us to be excluded or easily forgott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