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정기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보편적인 시선’을 자연 풍경 사진이라는 형식으로 드러낸다. 2011년부터 시작된
‘Is of’연작은 작가가 직접 특정 장소를 찾아다니며 그 장소의 실제 꽃, 잎사귀, 줄기, 뿌리와 같은 자연물에서 추출한 색소를 이용하여 잉크젯 프린트한 사진이다. 백정기는 일반 잉크와 달리 빛과 공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자연과 닮아있는 이 색소의 특징에 주목한다. 그는 이러한 식물에서 추출한 색의 속성을 보존하기 위해 산소와의 접촉을 줄이는 접근 장치를 액자에 적용한다. 이러한 ‘Is of’연작에서 자연의 변화의 속도를 늦추려는 태도는 자연을 찬미하고 경외하면서도 동시에 자연을 소유하려는 인간의 욕망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이번 전시에서 처음 선보이는 신작 〈Is of: 팔공산-01, 02〉(2024)는 기존의 ‘Is of’연작이 자연의 색을 유지, 박제하고자 하는 시도였다면 질소를 사진 안에 주입하는 가스 치환 장치를 이용하여 변화하는 색의 속도를 늦추는 점진적인 과정을 그대로 노출시킨다. 변화하고자 하는 자연의 속성과, 사진의 변화를 늦추려는 기계는 마치 생명유지 장치처럼 자연과 인간의 줄다리기를 연상하게 만든다.
BEAK Jungki reveals people’s universal perspectives on nature through the format of natural landscape photography. The Is of series, begun in 2011, consists of photographs the artist inkjet printed using pigments extracted from natural articles such as flowers, leaves, stems, and roots actually from the certain sites the artist visited. BEAK notes these pigments’ characteristic of resembling nature, which sensitively responds to light and air, unlike regular ink. He applies to the frame an access mechanism reducing contact with oxygen in order to preserve the attributes of the colors he extracted from such plants. The attitude of trying to slow the speed of nature’s changes in the Is of series ironically reveals the human desire to own nature even while praising and respecting it.
If the previous Is of series represented attempts to maintain and preserve nature’s colors, the new works debuting through this exhibition Is of: Mt. Palgong-01 and Is of: Mt. Palgong-02 (2024) plainly expose the gradual process of slowing the speed of the changing colors using a gas replacement device injecting nitrogen into the photographs. Nature’s property of seeking to change and the machine trying to slow the photographs’ changes are reminiscent of a tug-of-war between nature and humans, like a life-support system.